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java
- 실시간 상태값 저장
- vsc
- 게시판
- open in browser
- 자바빈
- IndexedDB
- thymeleaf
- chart.js
- @requstbody
- 데이터 시각화
- 자바스크립트
- chart.js 라이브러리
- jsp
- ui인터페이스
- 상태값 저장 유지
- JavaScript
- vscode
- resutful api
- css
- Eclipse
- 자바
- git
- tomcat
- html
- 초보 개발자
- MYSQL
- github
- 여러 종류의 사용자 정의 함수
- spring boot
- Today
- Total
수월한 IT
9. Branch 본문
git을 로컬에서 혼자 사용할 때보다는 여러 명이 협업을 할 때 많이 사용하는 개념입니다. 직역 하자면 ‘가지’라는 의미인데, 편집 방향을 여러 형태로 나누어 편집하여 저장한 후 다른 유형과 비교한 후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적용하려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
1. branch 생성하기
step 1.
Git GUI 툴에서 메뉴 Branch>Create… 를 선택한다.
step 2.
Name항목에 branch로 사용할 적당한 이름을 넣고 Create 버튼을 클릭한다.
step 3.
Branch메뉴의 Checkout 메뉴를 선택하면 새로운 다이얼로그가 보입니다. 이 때 새로 생성한 branch이름을 선택한 후 Checkout 버튼을 클릭합니다.
step 4.
Curent Branch 이름이 master에서 type 1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2. commit 된 branch 확인
branch로 다른 것으로 변경된 경우 commit 된 정보는 master용 Visualize로 볼 수 없습니다. 아래의 그림처럼, History나 All Brach History 메뉴를 선택해야 볼 수 있습니다. 아래의 그림은 All Branch History 메뉴를 사용하여 본 그림입니다.
type 1로 branch를 바꾼 후 commit 한 경우.
아래의 그림은 type2 branch를 새로 만든 후 master, type 1, type 2 branch 이름으로 계속해서 commit된 결과입니다.
3. check out
branch를 check out 하고하고 다른 branck를 선택하면 기존 코드가 해당 branch에서 작성된 내용으로 자동 변경됩니다.
master로 checkout 한 경우
type 1로 checkout 한 경우
type 2로 checkout 한 경우
Working Dir에 가서 실제 코드들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'BOOKS > 수월한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. Github 계정 만들기 (0) | 2022.12.12 |
---|---|
10. merge (1) | 2022.12.12 |
8. Revert Changes (0) | 2022.12.12 |
7. Commit 이력 확인 (0) | 2022.12.12 |
6. 로컬에서 형상 관리 진행해 보기 (0) | 2022.12.12 |